loading

커뮤니티

언론보도

제목
등록일
[대구쪽방상담소] 역대급 폭염에 힘겨운 쪽방촌 사람들…‘폭염 조례’ 개정 필요 목소리 2024-08-06
[행복나눔의집] "창문없는 방, 선풍기로만"…'무더위와 사투' 대구 쪽방촌 사람들 2024-08-06
[대구쪽방상담소] 대구시 및 구·군, 폭염 3대 취약분야 보호 위한 폭염 대책 추진 2024-08-02
[행복나눔의집]"기후위기 사각지대 해소하겠다"… 대구기상청, 폭염 피해예방 쪽방촌 생수 나 2024-08-02
[대구쪽방상담소] “낮보다 뜨거운 밤”…열화상으로 본 쪽방촌 2024-08-01
[대구쪽방상담소] 폭염이 더 두려운 취약계층…지원 조례 개정해야 2024-08-01
[대구쪽방상담소] 벌어지는 도심지-외곽지 기온 격차…실외,젊은 온열질환자들 2024-08-01
[대구주거복지센터] 단절의 벽 쌓는 ‘저장강박’…무너져 가는 공동체 (대구) 2024-08-01
[대구주거복지센터] 단절의 벽 쌓는 ‘저장강박’…무너져 가는 공동체 (대구)

사용하든 사용하지 않든 각종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집 안에 계속 쌓아두는 증상을 저장강박증이라고 하는데요.

집안 가득 온갖 잡다한 물건들로 쌓여 스스로 감당하기 힘들어지면 무기력해지고, 외부와의 소통이 끊어지는 악순환이 생긴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립과 단절의 벽에 갇히게 되는 저장강박증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경고의 메시지는 무엇인지, 우성문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저장강박증 의심 세대는 집 안에 쓰레기를 가득 쌓아놓고 지내는 탓에 자신은 물론이고, 이웃에게까지 불편을 끼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사회와 단절될 수록 저장강박증은 점점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저장강박증 환자는 해마다 늘고 있지만 발견하는 것 조차 어렵다고 합니다.

이어서 김민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달서주거복지센터] 주거 개선 욕구 커지는데… 대구 기초지자체 주거복지센터는 달서구 1곳 뿐 2024-07-25
[대구쪽방상담소] “선풍기에서 뜨거운 바람만”…‘1년 중 가장 더운날’ 대구 쪽방촌 가보니 2024-07-24



top